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이 건물 4층은 비어 있습니다 – 베트남의 '숫자'에 얽힌 이야기

by nhatrang73 2025. 7. 10.

 

베트남 숫자 일러스트

✅ 목차

1. 처음엔 이상했던 건물 구조

하노이에서 처음 본 고급 아파트 단지.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다 눈이 휘둥그레졌습니다.

1, 2, 3, 5, 6… 4층이 없습니다.

처음엔 단순한 실수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몇 개의 건물, 호텔, 병원, 쇼핑몰에서 똑같이 ‘4’ 번 버튼이 사라진 걸 보고는 궁금해졌죠.

“왜 베트남에서 4층을 피하는 걸까?”

2. 왜 4층이 없을까? – 숫자에 숨은 문화

‘4’는 중국어에서 ‘사(四)’와 ‘죽을 사(死)’가 같은 발음이라는 이유로 중국, 대만, 홍콩, 그리고 일부 동남아 국가들에서도 꺼려집니다.

베트남 역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나라이기 때문에, 건물 설계나 병원, 병실 등에서 4번을 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4층 대신 “3A”, “3B”, “5A” 같은 표기로 대체하거나, 아예 엘리베이터에 번호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미신이지만, 불안하니까 그냥 없애는 거야.”라는 말이 로컬 건설업자들 사이에서도 통용되고 있습니다.

3. 8, 13, 49 – 베트남에서 주의해야 할 숫자들

숫자 의미 회피 방식
4 ‘죽음’을 연상시킴 층 생략 또는 3A로 대체
13 서양식 ‘불길한 숫자’ 영향 호텔 방번호 생략
49 ‘죽은 사람의 영이 머무는 날’로 인식 조상제사일 회피, 사업개시일 제외

반대로 ‘8’이나 ‘9’처럼 부, 길함, 영원함을 의미하는 숫자는 선호됩니다.

4. 한국과의 숫자 미신 비교

한국에서는 4층, 44호, 444번 등을 꺼리는 경우가 많죠. 병원에서는 4층을 ‘F’로 표기하거나, 호텔 객실에서 404호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베트남에서는 여기에 13번의 서양 미신 + 불교적인 숫자 인식이 더해져 숫자 문화가 더욱 복합적이고 흥미롭습니다.

  • 한국 – 4, 44, 444 (한자 영향)
  • 베트남 – 4, 13, 49, 53 (중국+서양+불교 혼합)

5. 숫자가 무서운 게 아니라, 그 믿음이 중요하다

나는 미신을 잘 믿지 않는 편이지만, 이상하게도 4층 없는 엘리베이터 앞에 서면 왠지 모르게 조심스러워지기도 합니다.

그게 믿음의 힘이겠죠. 확인되지 않은 믿음이지만 , 누군가에게는 마음의 안식이 될 수 있겠죠

저희 집사람은 제가 밖에 나갈때  제 가방 안에 마늘을 넣어 놓습니다, 뭔지는 모르겠지만, 괜히 든든하게 느껴질 때도 있네요

누군가에겐 단순한 숫자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삶의 일부이자 조심하는 마음일 수도 있다는 걸, 이 나라에서 배웠습니다.

 

“미신이 아니라, 서로에 대한 배려다.”

🔗 참고 링크